현재 팀내에서 테스트 보고서 작성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IEEE 829-1998 중 테스트 요약 보고서(Test Summary Report) 부분을 참고로 진행하고 있다. ------------------------------------------------------------------------------------------------------- 11. 테스트 요약 보고서 11.1 목적 계획했던 테스트 행위의 결과를 요약하고 그 결과에 기반한 평가를 제공함 11.2 개요 테스트 요약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따른다. a) 테스트 요약 보고서 식별자(Identifier) b) 요약(Summary) c) 변경내용(Variances) d) 포괄적인 평가(Comprehensive As..
자 보자. 새로 오신 실장님으로부터 팀장님이 이런 류의 질문 몇 가지를 받았다고 한다. 경영진의 물갈이 이후 실무 지휘자급의 물갈이가 이루어지면서 새로 오신 실장님이 품질관리 팀에게 몇 가지 질문거리를 던지신거란다. 그 첫 번째 질문은 제목과 같이 모든 것을 다 외주 줘도 남겨야 할 품질관리 팀의 업무는 무엇인가? 이다. (다른 몇 가지 질문들도 충분히 흥미로운 질문이며 기회가 되면 포스팅 하도록 하겠다) 눈치채신 분들은 이미 눈치채셨겠지만, 질문 자체가 상당히 네거티브 하다. '자, 니 목에 칼이 들어와 있는데 니가 꼭 살아야 할 이유 하나를 잘 댄다면 살려주마' 마치 이런 뉘앙스? 내 생각에, 이 질문은 다음과 같이 바꾸어야 정당하다. “정말 하나의 테스팅 업무를 외주에 맡겨야 한다면 어떤 일을 맡겨..
Methods & Tools의 2005년 겨울판에 실린 아티클. 테스트 팀의 구성원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업무에 어떻게 할당할지, 동기 부여는 어떻게 하며 캐리어 큐브는 어떻게 관리할 지에 대한 이야기다. 테스트 자체의 기능적인 부분에 대한 기사도 좋지만 팀 관리와 구성에 관한 아티클은 쉽게 찾아보기 힘든 만큼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있다. 테스트 유형 분석 질문지도 같이 압축해서 첨부하니 도움되시길 바란다. PS> 이 아티클은 신재문 팀장님의 블로그 테스터 이야기에 처음 등록되었다. 수준이 떨어지는 별것 없는 번역을 높이 평가해 주시고 블로그에 올려주신 신 팀장님에게 감사드린다.
블로그를 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인터넷이 가능한 곳에서 언제든지 문서 저장고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젠가는 활용하겠지라는 생각으로 만들어 놓았다가 폴더 어느 구석에 처박혀 있는지도 모른채 시스템과 함께 사라진 문서들이 부지기수다. 지난해 초쯤 시험삼아 TestLink 1.7 버전을 설치하고 활용해 보려 했는데 생소한 개념들이 많이 등장해 혼란스러웠다. 워낙에 테스트 기초를 ISTQB 실라버스 기반으로 배우다보니, ISTQB 체계를 따르지 않는 다른 툴들은 용어조차 생소한 것들이 많았다. 해서 이왕에 영문 매뉴얼을 한글로 번역해 보자라고 작정하고 며칠 달려들어 한글 매뉴얼을 만들었다. 누구 하나 제대로 리뷰조차 해준적 없는 완성도 떨어지는 문서이기는 하나 필요한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
소프트웨어 리그레션 테스트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그룹에 있어 핵심적이면서도 도전할 만한 업무라 할 수 있다. 사전적인 정의에 따르면, 리그레션 테스팅(Regression Testing)은, 추가된 새로운 기능이나 최근의 버그 수정으로 인해 현존하고 있는 시스템의 기능들이 뜻하지 않게 파괴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프로세스이다. 리그레션 테스트의 주된 과제는 가능한 시간 범위 안에서 가능한 한 많은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며 아울러 리그레션 테스트 사이클 안에서 가능한 한 빨리 모든 심각한 리그레션 결함을 찾아내는 것이다. 고전적인 의미의 리그레션 테스트 사이클은: 1. 모든 새로운 기능이 완성되고 모든 주요 버그들이 수정된 소프트웨어의 최종 버전이 소프트웨어 개발팀으로부터 전달된다. 2. 기능 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