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프트웨어 테스트

(3)
실용적인 심각도 선정 가이드 최근 필자가 재직하고 있는 품질관리 팀 내에서 심각도(Severity)에 대한 기준을 다시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국내에서 테스트 엔지니어들이 그들의 현업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을 정도의 심각도에 관한 기준이 세세하게 기록된 문서를 가지고 있는 회사가 과연 얼마나 많을지 의문이다. 아무리 테스트 업무를 오랫동안 진행한 부서라고 하더라도 결함의 심각도를 판단하는 유일한 기준이 오직 개별 테스트 엔지니어의 경험과 주관뿐인 경우가 허다한 것이 현실이다. 상황이 이러하다 보니 당연히 심각도 선정에 대한 객관성이 보장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개발자와 테스트 엔지니어 사이에 결함의 심각도에 대한 의견 차이가 빈번하게 발생했을 뿐만 아니라, 테스트 팀 내에서도 동일한 결함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이 제시되고는 했다..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종류 업무상 필요해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종류에 대해 조사하다가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된 글을 발견했다. 각 항목들에 대해 최소한의 정의들로만 구성되어 있어 논란의 여지가 남아있는 항목도 있다. 아직까지도 정확한 단어 사용이 힘들지만, 여기에 사용된 단어의 정의에 대해서는 업계의 대다수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Happy Testing!!! 출처: http://www.softwaretestinghelp.com/types-of-software-testing/ 블랙 박스 테스팅(Black box testing) – 시스템의 내부 설계(Internal system design)는 이 테스팅 유형에서 고려할 대상이 아니다. 테스트는 요구사항(Requirement) 및 기능성(Functionality)에 기..
성공적인 테스트 매니저가 되기 위해 알아야 할 10가지 1. 팀원들에게 동기 부여하라(Motivate your staff) Testers who are excited and committed to the testing effort will be far more productive and effective than those who are not. New test managers should motivate their employees by showing them respect, asking their advice, giving them challenging assignments, providing meaningful training, rewarding their efforts, and banishing “zero defect” mentality. 테스팅 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