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도 선정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실용적인 심각도 선정 가이드 최근 필자가 재직하고 있는 품질관리 팀 내에서 심각도(Severity)에 대한 기준을 다시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국내에서 테스트 엔지니어들이 그들의 현업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을 정도의 심각도에 관한 기준이 세세하게 기록된 문서를 가지고 있는 회사가 과연 얼마나 많을지 의문이다. 아무리 테스트 업무를 오랫동안 진행한 부서라고 하더라도 결함의 심각도를 판단하는 유일한 기준이 오직 개별 테스트 엔지니어의 경험과 주관뿐인 경우가 허다한 것이 현실이다. 상황이 이러하다 보니 당연히 심각도 선정에 대한 객관성이 보장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개발자와 테스트 엔지니어 사이에 결함의 심각도에 대한 의견 차이가 빈번하게 발생했을 뿐만 아니라, 테스트 팀 내에서도 동일한 결함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이 제시되고는 했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