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스트

(5)
[번역] How Google Tests Software - Part One 최근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 여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페이스북에는 테스팅을 전담하는 조직이 없다”라는 내용이 화제가 된 적이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 국내에서도 이런 저런 논의가 많았었죠. 마찬가지로 지난 1월부터 구글 테스팅 블로그에 올라오고 있는 제임스 휘태커(James Whittaker)의 포스트 “How Google Tests Software” 시리즈도 화제에 오르고 있습니다. 페이스북과 마찬가지로 구글에서도 개발자들이 테스팅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테스팅 조직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그 외에도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구글에서의 테스팅 방법에 대해 많은 내용이 올라와 있습니다. 저는 자잘한 내용들을 조금 더 보충해 전문을 번역한 것 뿐이고, 핵심적인 내용은 흥배님의 블로그 포스트 『구..
내게 테스팅이란 요즘 QA[1] 관련 글이 뜸합니다. 개인적으로 소프트웨어 테스팅과 관련된 번역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고, 회사에서도 QA파트가 셋팅되고 본격적으로 테스팅 업무들이 진행되기 시작하면서 눈코뜰새 없이 바쁘다 보니 블로그에는 제대로 신경을 못쓰고 있습니다. 이 와중에 잠시 시간을 내어 지난 주에 있었던 ‘차세대 게임개발 국제 컨퍼런스’에 다녀왔습니다. 기존의 게임 개발 관련 세미나나 컨퍼런스가 주로 개발 자체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게임 QA가 행사의 메인 테마였습니다. 국내의 온라인 게임 업계에서도 QA의 입지가 향상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반증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얼마 전 온라인 매체의 기사를 통해 국내에서도 인지도를 높인 캐나다의 게임 테스팅 전문 회사인 엔자임 (..
만약 당신이 새로 부임한 QA 매니저라면 소프트웨어 테스팅 전문가인 James A. Whittaker가 Google Testing Blog에 얼마 전에 올린 포스트다. 최근 관심있는 테스트 매니저의 R&R과 관련된 글인지라 관심이 갔다. 원래 하나의 제목에 2개의 포스트가 이어진 것을 한 번에 번역했다. 참조해 보시길. “만약 당신이 새로 부임한 QA 매니저라면…” By James A. Whittaker 오늘 아침, 나는 한 독자로부터 아래 내용의 메일을 수신했다. “나는 테스트 관리자(Test supervisor)로 일하다가 어제부로 QA 관리직(QA Management position)으로 임명되었습니다. 한편 흥분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두렵기도 하네요. 이런 마음을 어떻게 정리해야 할 지 잘 모르겠습니다. 스타웨스트(StarWest)에 ..
IEEE 829-1998 중 테스트 요약 보고서 부분 번역 현재 팀내에서 테스트 보고서 작성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IEEE 829-1998 중 테스트 요약 보고서(Test Summary Report) 부분을 참고로 진행하고 있다. ------------------------------------------------------------------------------------------------------- 11. 테스트 요약 보고서 11.1 목적 계획했던 테스트 행위의 결과를 요약하고 그 결과에 기반한 평가를 제공함 11.2 개요 테스트 요약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따른다. a) 테스트 요약 보고서 식별자(Identifier) b) 요약(Summary) c) 변경내용(Variances) d) 포괄적인 평가(Comprehensive As..
모든 것을 다 외주 줘도 남겨야 할 품질관리 팀의 업무는 무엇인가? 자 보자. 새로 오신 실장님으로부터 팀장님이 이런 류의 질문 몇 가지를 받았다고 한다. 경영진의 물갈이 이후 실무 지휘자급의 물갈이가 이루어지면서 새로 오신 실장님이 품질관리 팀에게 몇 가지 질문거리를 던지신거란다. 그 첫 번째 질문은 제목과 같이 모든 것을 다 외주 줘도 남겨야 할 품질관리 팀의 업무는 무엇인가? 이다. (다른 몇 가지 질문들도 충분히 흥미로운 질문이며 기회가 되면 포스팅 하도록 하겠다) 눈치채신 분들은 이미 눈치채셨겠지만, 질문 자체가 상당히 네거티브 하다. '자, 니 목에 칼이 들어와 있는데 니가 꼭 살아야 할 이유 하나를 잘 댄다면 살려주마' 마치 이런 뉘앙스? 내 생각에, 이 질문은 다음과 같이 바꾸어야 정당하다. “정말 하나의 테스팅 업무를 외주에 맡겨야 한다면 어떤 일을 맡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