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보는 내내 행복했다. 30년 동안 보지 못했던 강백호와 송태섭, 서태웅, 정대만, 채치수, 북산 팀은 여전했다. 소연이와 한나, 안 감독님도 잘 지내고 있는듯 했다. 이들을 다시 만나니 정말 행복하지 않을 수 없었다. 1996년의 시카고 불스가 다시 돌아온다고 해도, 이 2시간 만큼 행복하지는 않았을 것 같다. 2. 가장 먼저 와 닿았던 송태섭이 형과 일대일을 하는 장면. 무엇보다 고무공 소리가 귀에 박힌다. 별 것 아닌 사운드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정말 농구를 사랑하고, 농구를 아는 사람이 만든 영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고무공이 코트에 튕기는 순간 순간 들리는 저 특유의 소리, 정말 생생했다. 영화 내내 플레이를 묘사하는 사운드와 모션이 자연스러워서 충분히 몰입될 수 밖에 없었다. 후반부 송..
간만의 포스팅이다. (쓰고보니 바스킷볼 다이어리 포스트는 마지막으로 쓴게 1년도 넘었네...) 어쩌다보니 블로그가 온통 소프트웨어 테스팅 관련 번역글 말고는 딱히 다른 주제의 글들을 찾아보기 힘들게 되어버렸다. 누가 그렇게 하라고 시킨 것도 아닌데, 이상하게 테스팅과 관련된 글 말고는 쉽게 올리기 힘들게 되어버렸다. 물론 나도 소프트웨어 테스팅이나 IT를 다루는 다른 블로그를 열심히 구독하고 있다. 하지만 항상 올라오는 기술이나 트렌드와 관련된 포스팅 외에도, 사실 블로그를 하시는 분들이 개인적으로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 궁금할 때가 많다. 그 분들의 취미는 무엇인지, 주말에는 무엇을 하는지, 어떤 드라마를 좋아하고 어떤 책을 읽는지 등이 가끔은 궁금해진다. 그런 일상들에서 나와 공통된 점을 찾고 싶은 ..
이 글은 NBA와 농구를 좋아하고 만화 “슬램덩크”를 대사를 외울 정도까지 좋아하는 분이 본다면 한결 이해하기 편합니다. ^^ 나는 농구를 무척 좋아한다. 매주 일요일 청계천 변의 농구장에 나가서 몇 시간씩 땀을 흘리고, 시간이 될 때마다 동호회에 참석해 같이 시합을 하고는 한다. (그렇다고 남들보다 잘 하는 건 절대 아니다. 오해하지 마시길...) 농구 역시 다른 단체 구기 종목과 마찬가지로 여러 명이 한 팀을 짜고 상대팀과 승부를 겨루는 팀 단위 스포츠다. 그러다 보니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한 팀에 섞여 운동을 하게 된다. 농구는 어디까지나 단체 경기고 따라서 승부의 주체는 당연히 ”팀”이다. 팀이 승리하고 지는 것이지, 개별 플레이어들이 이기고 지는 것이 아니다. 한 팀을 구성해 운동을 하는 사람이라..
- Total
- Today
- Yesterday
- testing
- basketball diary
- 구글 테스팅 블로그
- 농구
- Test
- How Google Tests Software
- 게임QA
- Software Testing
- 구글 테스팅
- 버그
- 누가바닷컴
- 제임스 휘태커
- 테스트
- 소프트웨어 테스트
- Game Testing All in one
- 구글 테스트
- BasketBall
- Game Testing
- Bug
- 구글
- Iain McCowatt
- software tester
- 리그레션 테스트
- 바이오웨어
- Regression Testing
- 테스터
- 테스팅
- 리스크 기반 테스팅
- QA
- 게임 테스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