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팬인 원사운드 님이 이번 KGC2009를 주제로 그린 TIG 웹툰에 소프트웨어 테스트와 관련된 내용이 나와 소개하고자 한다. 웹툰의 내용 중에 버그에 대한 개발자의 6 가지 반응이 나온다. 자, 그 다음 직접 웹툰을 보고 오자. (http://www.thisisgame.com/board/view.php?id=302087&category=106&subcategory=2) 개발자의 6가지 반응 중, 그래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1~5번을 고르신 분들은 훌륭한 개발자입니다” ...라는 이토 마코토의 대사만 보고 ‘이거뭐병!!!’이라는 생각을 했다가 이어지는 내용들을 보고 나서는 “음…”이라고 할 수 있었다. 테스터가 버그를 보고할 때에도, 그 중요도(Severity)와 우선순위(Priority)에 ..
요즘 QA를 하는 사람치고 탐색적 테스팅(Exploratory Testing)이라는 말을 처음 들어본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만큼 소프트웨어 테스트 업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범용적인 테스트 프로세스로 자리잡았으며, 아울러 최신의 트렌드인 애자일(Agile) 프로세스와의 궁합으로 인해 더더욱 이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해외에서는 제임스 바흐(James Bach)가 탐색적 테스팅을 주창하면서 테스트 업계에 이를 전도하고 주창하는 역할을 맡아오고 있다. 제임스 바흐는 지난해 10월 STEN에서 초대해 국내에서도 세미나를 가진 적이 있었다. 그 만큼 국내에서도 탐색적 테스팅에 관한 지적 혹은 실무적인 요구가 충분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높은 비용을 지불하고 이런 세미나에 참석할 만한 여유가 있..
10월 1일 2009년 하반기 기대작 빅3 중 하나로 꼽히는 "드래곤 네스트"의 2차 CBT가 종료되었다. 지난 1차 CBT에도 테스터로 신청을 했으나 아쉽게도 당첨되지 못했고, 이번에는 개인적인 친분을 십분 활용해 테스트 계정을 획득했다. 따라서 1차에 비해 얼마나 많은 발전과 변화가 있었는지는 비교할 근거가 없었다. 그러나 비록 1차 CBT의 경험이 없더라도, "드래곤 네스트"는 첫 인상부터가 무척 호감을 가질 만 하다. SD 캐릭터로 표현되는 월드임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SD 장르, 혹은 다른 MMORPG 게임들에 비하더라도 깊은 색감과 디테일한 그래픽 요소들을 제공함으로써 시각적인 측면에서는 확실히 다른 게임들과 차별화될 만 했다. 거기에 최신의 트렌드를 따라가는 오소독소한 게임 내 컨텐츠들과 여기..
1. 팀원들에게 동기 부여하라(Motivate your staff) Testers who are excited and committed to the testing effort will be far more productive and effective than those who are not. New test managers should motivate their employees by showing them respect, asking their advice, giving them challenging assignments, providing meaningful training, rewarding their efforts, and banishing “zero defect” mentality. 테스팅 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