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리더로서 우리는, QA가 공헌하는 바를 좀 더 눈에 잘 띄게 만들어 QA팀이 개발에 일조하는 조직이며 이러한 QA의 가치를 다른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테스팅이나 테스터가 제대로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곳에서는 특히 이러한 활동이 ‘문화를 만들어 간다’는 측면에서 말할 수 없이 중요하다. 테스터는 개발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으로 제 시간에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가진 가치있는 기능을 만들어내기 위해 모든 분야의 개발자들과 함께 일하는 사람이다. 또한 테크니컬 뎁트(Technical dept)1)를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해 개발팀이 일상적인 업무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항상 신뢰할 수 있는 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자, 그럼 이런 품질 조직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가? ..
지난 KGC2013에 강사로 초빙돼 게임 QA와 관련해 “바이오웨어 개발의 QA 모델”이라는 인상적인 강의를 했던 Tulay Tetiker McNally 가 가마수트라에 올린 그녀의 연작 포스트 중 두 번째 글을 번역했습니다. 지난 6월에 그녀의 첫 번째 글을 번역하고 나서 이후 다음 포스트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개인적으로 나태해진 모습을 가다듬어 가급적 빠른 시간안에 이 연작의 번역을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번역과 블로그 게제에 관해서는 필자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PS> 이 포스트는 '누가바닷컴'에 먼저 올렸다가 조금 더 다듬어서 개인 블로그로 옮겨온 것입니다. Part 2: QA – 게임 분야에서 인정받는 직업인가? 안될 이유가 있나!!? by Tulay Tetiker McNally 코메디..
가마수트라에 실린 Tulay Tetiker McNally의 연작 중 첫 번째 글인 “Part 1: The End of the Dark Ages for QA in game development”를 번역했습니다. 바이오웨어의 QA 리드로 재직 중인 저자는 현재 가마수트라에 바이오웨어 QA팀과 그 업무에 대한 연작을 게제하고 있습니다. 원래 5편으로 계획 중인 연작 중 지금까지 4편의 글이 올라와 있습니다. 나머지 글들도 곧 번역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번역에 관해 본 포스트의 댓글 및 저자 개인 페이스북 메시지를 통해 알려놓은 상태입니다. 출처: Part 1: The End of the Dark Ages for QA in game development Part 1: 게임 개발에서 QA 흑역사의 종말 by Tu..
앨런 페이지가 쓴 “Debugging For Testers”를 번역했습니다. 테스팅 업계의 큰 화두인 “테스터가 코드에 대해서 얼마나 알아야 하는가?”라는 명제에 대한 앨런 페이지 개인의 답이기도 하면서, 제 개인적으로도 동의하는 의견인지라 흥미있게 읽은 포스트입니다. 실제로 크래시가 발생할 경우 콜스택을 활용해 수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어서 제게는 더욱 의미가 있었던 포스트 같습니다. 번역 및 포스트에 대해서는 저자의 허락을 받았습니다. 출처: Tooth of the Weasel - Alan Page's blog Debugging for Testers Alan Page 최근 개인적으로 내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말들을 자주 들을 수 있었다. 내가 들은 이런 말들의 요지는 한 마디로 ‘디버깅은 코더들을 위..
지난해 11월에 번역해 포스팅한 조나단 콜의 ‘The Software Development Game’에 이어, ‘Software Testing is a Game’을 번역해 올립니다. 게임과 게이미피케이션이라는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에 접근했던 전작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는 소프트웨어 테스팅이라는 영역을 어떻게 게임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하고 접근할 수 있는지는 보여주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테스팅에 대한 색다른 접근법이기도 하지만, 게임QA라면 또한 누구나 한 번쯤은 생각해 보았을만한 주제인지라 쉽게 공감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번역 및 포스팅에 대해서는 저자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원글 출처: http://www.kohl.ca/2012/software-testing-is-a-game/ Software ..